AI 플랫폼 경쟁이 뜨거워지는 요즘, 기업마다 새로운 기술을 앞다투어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에이전트’라는 키워드는 이제 단순한 기능이 아닌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는 중심으로 자리잡았죠.
이번에 주목할 기업은 바로 올거나이즈입니다. 올거나이즈는 국내 최초로 MCP기반 AI 에이전트 빌더를 출시하면서 보안과 자동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습니다.
AI를 활용해 수익화나 내부 프로세스 자동화를 고민하는 분들이라면, 이번 소식은 분명 눈여겨볼 만한 포인트가 가득합니다.

MCP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MCP는 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자로, 미국의 AI 기업 앤트로픽이 개발한 오픈 소스 에이전트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AI 모델이 다양한 도구와 데이터를 안전하게 연결하고 통신하는 방식을 정의한 표준이죠.
현재는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도 MCP를 채택하고 있을 만큼 그 위상이 높아졌습니다.
MCP의 핵심 기능은 AI 에이전트가 정해진 도구만을 안전하게 활용하게끔 제한한다는 점입니다. 덕분에 기업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룰 때도 보안 우려를 줄일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외부에서 만든 MCP 컴포넌트가 너무 많은 권한을 갖는 경우, 보안 리스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통제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올거나이즈 알리 플랫폼이 도입한 MCP 기반 빌더의 핵심 기능
올거나이즈는 바로 이 문제에 착안하여,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작동하는 MCP 기반 AI 에이전트 빌더를 알리(Ali) 플랫폼에 탑재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 이게 왜 중요하냐면, 외부와의 네트워크를 차단한 상태에서도 AI 자동화 도구를 운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능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검색 에이전트 : 노션, 구글 드라이브 등과 연동하여 사내 문서 검색 자동화
- 데이터 분석 에이전트 : BI 시스템이나 DB를 분석하여 자동 보고서 작성
- 영업 지원 에이전트 : 뉴스·문서 분석 후 회의 전략까지 정리해주는 기능
무엇보다 코딩 없이 GUI 환경에서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이 비개발자에게도 매우 큰 장점입니다.

LLM 알파-V2와의 결합으로 성능 극대화
올거나이즈는 자사 LLM 모델인 알파-V2와 알파-R1을 MCP 기반 에이전트 빌더와 연동했습니다.
알파-V2는 알리바바의 큐원을 기반으로 올거나이즈의 데이터와 노하우를 결합한 모델인데요, 한국어 성능 면에서는 같은 규모의 모델인 큐원2.5-32B, 엑사원 3.5-32B보다 뛰어나다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또한, 알파-V2-소형 모델은 허깅페이스를 통해 오픈웨이트로도 제공되며, 적은 자원으로도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에서도 접근이 용이합니다.
특히 저처럼 수익화 자동화를 연구하는 입장에서 보면, 이 정도의 모델이 기업 전용으로 제공되면서도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작동된다는 점은 매우 유의미한 혁신입니다.
올거나이즈가 선보인 MCP 기반 에이전트 빌더는 단순한 기술 발표가 아닙니다.
실제 기업 환경에서의 보안 요건, 자동화 필요성, 온프레미스 운영까지 고려한 실용적인 도구입니다
AI를 활용한 수익화와 내부 자동화 시스템을 구상 중이라면, 이런 완성도 높은 솔루션은 검토 리스트 최상단에 올릴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을 직접 구현하는 데 있어 장애물이 많았다면, 이번 ‘알리’ 플랫폼의 MCP 빌더가 그 벽을 조금은 낮춰주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