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를 가지고 이것저것 자동화를 실험해보고 있어요. 처음에는 간단한 구글폼 연동부터 시작했는데, 이번엔 조금 더 실용적인 걸 만들어보고 싶더라고요. 그래서 고민 끝에 구글 트렌드의 RSS 데이터를 구글 시트에 자동 저장하는 시스템을 만들어봤습니다.

블로그나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지금 사람들이 관심 있어 하는 주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아실 거예요. 저처럼 자동화를 통해 이슈 키워드를 수집해서 콘텐츠에 활용하고 싶으신 분들께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구글 시트에 저장된 구글 트렌드 정보
구글 시트에 저장된 구글 트렌드 정보

최종 구현된 구글 시트의 상태입니다. 이런 기능이 필요하시면 천천히 보시면서 따라가보세요. 저도 많은 실패와 연구를 거듭하여 이정도 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시간 낭비하지마시길.


왜 구글 트렌드 + 구글 시트 자동화인가요?

MAKE를 공부하다 보면 많은 분들이 뉴스나 블로그 기사를 자동으로 가져와서 구글 시트에 저장하는 자동화를 많이 하시더라고요. 그걸 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구글 트렌드 사이트
구글 트렌드 사이트

그래서 저는 구글 트렌드의 RSS 데이터를 활용해보기로 했어요. 구글 트렌드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이니까요. 게다가 RSS로 제공되기 때문에 외부 도구와 연동도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하지만 막상 RSS 모듈을 써보려고 하니까 문제가 생겼습니다.


일반적인 RSS 모듈로는 안 되는 이유

MAKE Watch RSS feed
MAKE RSS feed Items

처음에는 당연히 MAKE에서 제공하는 RSS Watch RSS feed items 모듈을 사용해보려 했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구글 트렌드의 RSS 피드는 이 모듈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더라구요. 구조가 특이한 건지, 아니면 뭔가 필터링이 걸려 있는 건지 이유는 명확하진 않았지만, 일단 이 방법은 포기.
(구글 트렌드의 RSS 태그가 일반적이지 않아서 그럴거라 생각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봤고, 결국은 HTTP 요청으로 직접 데이터를 받아서, 그걸 Parse XML로 정제한 뒤 처리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답니다. 이 과정이 처음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번 해보면 정말 쉬워요!

MAKE 구글 트렌드 RSS 전체 시나리오
MAKE 구글 트렌드 RSS 전체 시나리오

MAKE 자동화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자, 그럼 제가 만든 자동화 흐름을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

1. HTTP 모듈로 RSS 가져오기

구글 트렌드 RSS 보기
구글 트렌드 RSS
구글 트렌드 RSS 데이터
구글 트렌드 RSS 데이터

먼저 https://trends.google.co.kr/trending/rss?geo=KR 주소를 HTTP 모듈로 호출합니다. RSS 피드를 직접 긁어오는 방식이죠.

MAKE HTTP 설정
MAKE HTTP 설정

이렇게 URL만 넣어주고 Method는 GET 나머지는 그대로 놓고 진행했습니다.

2. Parse XML 모듈로 정제

MAKE Parse XML 설정
MAKE Parse XML 설정

HTTP로 받아온 데이터는 XML 형식이기 때문에 Parse XML모듈을 사용해요. 여기서 Name에 Data를 넣고 Type은 Text로 Data Structure 설정은 마쳐줍니다.

XML 설정
XML 설정

XML 설정은 클릭을 하면 HTTP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데 여기에서 Data를 선택해줍니다. 여기에 앞으로 가져올 데이터가 들어있습니다.

3. Iterator 모듈로 반복 처리

Iterator 설정
Iterator 설정

Parse XML 에서 나온 여러 개의 아이템들을 Iterator로 하나하나 분리하는 작업을 해줬습니다. 현재 10개의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하였는데 이걸 각각 1개씩 분리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Iterator 선택하기
Iterator 선택하기

Array 부분을 클릭하면 XML에서 넘어온 데이터들이 쭉 나오는데 여기에서 rss 하위에 있는 channel하위에 있는 item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4. 구글 시트에 저장

구글 시트에 데이터 연결
구글 시트에 데이터 연결

마지막으로 구글 시트에 연결해서 원하는 정보를 하나씩 넣어줍니다. 이렇게 하고 실행을 시켜주면 구글시트에 저장이 완료 됩니다.

구글 시트 최종 결과
구글 시트 최종 결과

최종적으로 저장된 구글 시트 화면입니다.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키워드들이 나오고 있으며 저는 트래픽도 가져오고 키워드도 가져오는 형태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럼 블로그 작성이나 실시간 이슈 데이터가 필요하신 분들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이 형태는 구글 트렌드에서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가 있으니 원하시는 입맛에 맞춰 사용하시면 더 좋겠죠?)


노션과 연동하면 콘텐츠 생산이 더 쉬워져요

이렇게 만든 자동화는 단독으로 써도 충분히 유용하지만 이를 노션과 연동해도 좋고 이 내용을 바탕으로 GPT 연동이나 기사 요약 등 다양하게 사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당장 이 기능은 블로그 글을 쓸 때나 마케팅 기획안을 짤 때 트렌드 흐름을 바로 참고할 수 있어서 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MAKE를 이용하면 단순한 정보 수집을 넘어서, 실질적인 콘텐츠 생산과 연결된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어요. “이걸 내가 만들 수 있을까?” 싶겠지만, 막상 따라해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관심 있는 분들은 오늘부터 한번 도전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drlee web banner

Similar Posts